실시간 뉴스



국내 제조기업 60% "美 관세 리스크 영향 있어"


대한상의, 전국 제조기업 2107개 조사 결과
배터리·자동차·반도체·의료정밀 순 가장 많아
대응 방안 제한적...현지 생산은 3.9%에 그쳐

[아이뉴스24 이한얼 기자] 국내 제조업 전반이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美관세 영향권 기업 비중과 기업유형별 구성 [사진=대한상공회의소]
美관세 영향권 기업 비중과 기업유형별 구성 [사진=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제조기업 2107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 영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발 관세 정책에 영향권이라고 답했다고 1일 밝혔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한 기업은 14.0%였다.

영향권에 속한 기업들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 및 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의 비중이 높았다.

이어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 기업'(17.9%), '미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4.2%), '중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3.8%) 순이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관세 대상국 이외의 국가와 국내 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들도 간접 영향을 받는 것이다.

직·간접 영향권에 속한 업종을 보면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미국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또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76.7%), '중견기업'(70.6%), '중소기업'(58.0%)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은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납품 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어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이 뒤를 이었다.

이런 상황에도 국내 기업들의 대응은 제한적이다. 관세에 대한 대응 현황을 묻자 '동향 모니터링 중'(45.5%)이거나 '생산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 중'(29.0%) 인 기업이 74.5%였다.

그보다 더 근본적인 대응책인 '현지 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고,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20.8%였다.

특히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사 같은 중소기업의 대응 계획이 부족한 실정이다.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 계획이 없다'(24.2%)고 답했다.

/이한얼 기자(eol@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국내 제조기업 60% "美 관세 리스크 영향 있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