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현장] "尹 복귀하면 새로운 시작" vs "尹은 이제 대통령 아냐"


'尹선고' 앞두고 엇갈린 시민들…탄핵 전망 '첨예'
경찰, 헌재 주변 '진공상태' 구축…경찰 반 시민 반
감정 격해진 일부 시민들, 욕설·물리적 충돌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아이뉴스24 김주훈·유범열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하루 전인 3일 헌법재판소 주변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탄핵 '찬성-반대' 입장을 두고 진영 간 잣은 충돌이 벌어졌고, 경찰은 헌재 주변을 차벽으로 '요새'를 구축하는 등 총력전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경찰, '요새' 구축…생각보다 평화로운 '헌재 앞'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헌재 주변은 총집결한 각 진영으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각각 '윤석열 즉각 파면', '윤석열 즉각 복귀' 피켓과 깃발을 든 이들은 상대 진영을 향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지만, 감정이 고조된 탓에 욕설과 물리적 충돌이 잇따라 불거졌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서 경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두고 인파 관리에 나서고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경찰은 이날 오전 9시 부로 서울에 비상근무 중 2번째로 높은 단계인 '을호비상'을 발령했다. 헌재가 위치한 안국역 주변은 경찰의 차벽과 폴리스 라인이 구축됐다. 관광객이 '삼청동 문화거리'를 찾는 탓에 모든 도로를 통제하진 않았지만, 경찰은 정치적 구호가 담긴 피켓을 든 사람이 헌재 주변에 접근하는 것은 모두 통제했다.

그러다 보니, 헌재 앞은 탄핵심판을 앞뒀다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평화로웠다. 정치적 구호를 펼칠 수 있는 시민은 모두 원천 차단했기 때문에 헌재 앞 인도는 관광객만 통행했다. 헌재 주변 반경 150m 지역을 완벽하게 '진공 상태'로 만든 것이다.

다만 헌재 주변에선 각 진영 간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태극기와 '탄핵 기각' 피켓을 든 한 여성은 더불어민주당의 당 색인 파란색 옷을 입은 시민들에게 "대통령은 복귀한다"고 외쳤고, 이들은 "꺼져라"라고 맞받아치면서 경찰이 중재에 나서는 상황이 벌어졌다. 한 노인은 민주당 인사들이 공산주의자라는 주장이 담긴 종이를 나눠주다가,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는 피켓을 든 남성과 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해당 남성은 "윤석열은 친일파"라고 위협했고, 다른 시민이 이를 말리는 상황도 불거졌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손에 성조기를 든 한 남성이 부정선거 의혹을 규탄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반탄 "내란죄 빠져 각하"…"반국가세력 척결" 주장도

일부 시민 간 충돌이 벌어지긴 했지만, 다수 시민은 질서를 지키며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하는데 집중했다. <아이뉴스24>와 만난 시민들도 탄핵심판에 대한 입장을 조목조목 설명했다. 이들 모두 탄핵심판 결과에 대한 입장은 엇갈렸지만, '국가 정상화'가 필요하다 뜻은 같았다.

윤 대통령의 직무 복귀를 주장한 서울에 거주하는 70대 김모씨는 "대통령 선거를 다시 하는 것 자체가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복귀하면 저번보다는 더 폭넓게 국민을 품는, 나라를 위하는 정치를 새롭게 시작하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있다"고 했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앞에서 일부 보수 성향 시민단체 회원들이 성조기와 태극기, 깃발 등을 손에 들고 탄핵 기각·각하를 외치고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그는 대통령 탄핵 사태로 극에 달하고 있는 사회·정치 갈등에 대한 우려도 표했다. 다만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겨냥해선 "윤 대통령이 아닌 다른 사람이 나와 나라를 평정하면 혼란이 더 가중될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이후 새로운 깨달음 속에서 국민을 포용하고, 전과 다른 새로운 정치를 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한다"고 밝혔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60대 김모씨는 탄핵심판의 절차적 부당성을 지적하며 "각하되는 것이 맞는데, 민주당이 탄핵 가결 당시 소추 사유에 내란죄를 포함하지 않았냐"며 "정작 변론을 준비하면서는 내란죄를 사유에서 뺐다. 절차적 하자가 명백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각하로 판단하면 일단 기각은 아니니, 그런 측면에서 헌법재판관들도 (판단에 대한) 부담이 조금 적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서 태극기와 성조기를 손에 든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직무 복귀를 외치고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윤 대통령이 직무정지된 상황이 답답한 듯 언성을 높이는 이도 있었다. 한 20대 여성 박 모씨는 "주체사상파가 대한민국을 너무 많이 망가뜨렸다"며 "윤 대통령이 하루빨리 직무에 복귀해 우리나라를 반드시 원래대로 돌려놔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돌아오면 끝이 아닌 시작이다. 반국가세력을 척결하고 부정선거를 밝혀내 제2의 대한민국을 세워야 한다"며 "수많은 2030이 윤 대통령을 지지하고 있다. 대통령님이 아들, 딸이라는 생각을 갖고 힘을 내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찬탄 "국가의 아버지가 국민에게 총 겨눴다"

반면 "대통령은 나라의 아버지인데, 그 아버지가 국민에게 총부리를 향했다"며 윤 대통령의 파면 필요성을 주장하는 시민도 있었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앞에서 열린 민주노총 확대 간부 결의대회에서 조합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외치고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거주하는 60대 송모씨는 "탄핵으로 결정 나길 바란다"며 "윤석열을 지금 대통령이라고 얘기하고 싶지 않다. 국회를 향해 그런 일을 벌였지만 국회를 떠나 국민을 향해 벌인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나라의 아버지인데, 그 아버지가 국회가 아닌 국민에게 총부리를 향했다고 본다"며 "여기 나온 시민들은 각자 일터에서 일을 해야 하는데, 대통령이 그런 일을 저질러서 우리가 이 시간에 여기에 나와야 한다는 것이 가슴 아프다"고 토로했다.

서울 성동구에 거주하는 60대 김모씨도 "솔직히 이 상황이 너무 부끄럽다"며 "총을 들었으면서 2시간짜리 계엄이었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는데, 대선을 빨리 치를 수 있도록 빨리 탄핵 결정이 나와야 한다. 누구를 지지하고 말고를 떠나 탄핵당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거들었다.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대한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낸 시민도 있다. 서울에 거주하는 70대 윤모씨는 "윤석열은 없애야 하고,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사람도 정말 싫다"며 "만약 기각된다면 모두 엎어버릴 것이고 끝까지 투쟁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쪽에선 승복하라고 하는데, 우리가 왜 승복해야 하는 건가. 죄지은 것은 윤석열"이라며 "범인은 저쪽이다"라고 했다. 다만 윤모씨는 "나는 20대 중반에 5·18 민주화운동을 겪었기 때문에 12·3 비상계엄 당일 너무 무서웠다"며 "그렇기에 윤석열은 당연히 파면돼야 하고, 이를 옹호한 국민의힘도 해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인파 접근 차단을 위한 경찰의 대형버스 차벽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 거리에 '윤석열 즉각 탄핵'이라고 쓰인 트럭이 세워져 있다. [사진=유범열 기자]
/서울=김주훈 기자(jhkim@inews24.com),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현장] "尹 복귀하면 새로운 시작" vs "尹은 이제 대통령 아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