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eab76d17f57c55.jpg)
[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제 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그는 "저 안철수만큼 민주당을 잘 아는 사람이 없다"며 "이재명을 넘어 승리할 수 있는 유일한 국민의힘 후보"라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 이순신장군 동상 앞에서 대선 출마 선언식을 갖고 "국민은 이재명 민주당에 정권이 넘어갈까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저는 누구보다 깨끗하고, 인공지능 산업 발전과 의료대란 해결을 위한 적임자이며, 중도 소구력이 가장 큰 후보"라며 "이길 수 있는 후보, 당선할 수 있는 후보를 선출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의원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더 이상 과거를 바라보는 검사, 법률가 출신에게 맡겨서는 안 된다"며 "국민을 선악으로 구분하는 갈등의 세계관을 지닌 사람이 아닌, 다양한 국민들을 이해하고 통합으로 이끌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 본격화되는 개헌 논의에 대해선 "대통령 권한과 국회 특권을 축소하고, 대통령 4년 중임제와 중대선거구제를 추진하겠다"며 "정치에서의 진정한 협치와 통합의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또 "대한민국을 3대 AI 강국으로 만들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도 없다"며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처럼 신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국가적 투자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연금·교육·노동·의료·공공의 5대 개혁, 외교-안보-경제안보 3축 혁신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안 의원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그에 따른 대통령 파면에 대해선 "윤 전 대통령을 도와 (20대 대선에서) 단일화를 했던 사람으로서 깊은 반성과 사과를 드린다"며 "계엄은 잘못된 것이었고, 헌법재판소 판결에 명백하게 나타난 것처럼 재판관 전원의 위헌 판정을 받았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지금 우리는 과거를 회한으로 보낼 여유가 없다"며 "이제는 당내 가등을 넘어 화합으로, 국민 갈등을 넘어 통합으로, 국가 혼란을 넘어 발전으로 '예정된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a7c49ccb80041e.jpg)
안 의원의 대권 도전은 이번이 총 네 번째다. 2012년 18대 대선에선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단일화로 중도 하차했고, 2017년 19대 대선에선 제3당 국민의당 후보로 대선레이스를 완주했으나 문 전 대통령,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에 밀려 3위를 기록했다.
지난 2022년 20대 대선에서는 소수당 국민의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사전투표 전날 윤 전 대통령과 단일화 후 사퇴했다. 안 의원은 이후 윤석열 정부 인수위원장을 맡았다.
안 의원은 12·3 비상계엄 이후 줄곧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해 찬성 입장을 견지해온 만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등 보수 유력 주자들과 비교해 중도 확장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된다. 과학기술인 출신이라는 점 역시 법조인 중심의 다른 후보군과의 차별화 포인트다.
다만 당내 조직 기반이 약해 경선 통과부터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안 의원은 출마 선언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지적에 "2023년 초 전당대회 당시 용산에서 100% 당원 조사를 해서 대표를 뽑았다. 그렇게 용산에서 지시가 내려왔는데도 저는 24%의 지지를 받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한 분 한 분 저를 지지하시는, 저에게 기대를 거시는 분들이 있다고 믿고 있다"고 했다.
낮은 당원 지지를 염두에 두듯 안 의원은 당 경선 선거관리위원회가 내일부터 논의를 시작하는 현행 당심 50% : 민심 50% 경선 룰에 대해서도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 의원은 "국민 참여를 5:5가 아니라 지금보다 높여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