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설래온 기자]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를 '국난'으로 받아들인 일본 정부가,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2월 7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사진=AFP/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fb0debfd929f2f.jpg)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9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와 관련, "미국의 광범위한 무역 제한 조치는 미일 양국의 경제 관계와 세계 경제, 무역체제 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지시를 바탕으로 미국의 관세 조치 내용을 정밀 조사하고 일본에 미치는 영향도 충분히 분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국을 상대로 (관세 조치의) 재검토를 강하게 요구하면서 국내 산업의 영향을 고려해 자금 지원 등 필요한 대책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일본은 미국의 관세 조치를 '국난'으로 평가하고, 전날 범정부 대책본부를 설치하는 등 관세 완화를 끌어내기 위한 총력전 태세에 돌입했다.
아울러, 미국과 관세 협의를 담당할 각료로 이시바 총리의 측근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을 지명하기도 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2월 7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사진=AFP/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92a891a6156598.jpg)
한편, 미국 정부가 예고한 국가별 상호관세는 한국시간으로 같은 날 오후 1시 1분에 발효됐다.
이번 조치는 다른 나라의 관세·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 아래 시행된 것으로, 한국에 더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대만 등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국에 기본관세 이상의 상호관세가 부과됐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태국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적용된다.
중국의 경우에는 상호관세 34%에서 보복 조치로의 관세 50%가 추가돼 84%로 인상됐으며, 여기에 '좀비마약'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에 대한 비협조를 이유로 20%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최종 관세율이 104%가 적용되게 됐다.
다만, 백악관 측은 참고자료를 통해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에 대해선 상호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