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한빈 기자]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기준 연령은 '70세'부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10명 중 9명 가까이는 정년 연장에 동의했다.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기준 연령은 70세부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명 중 9명 가까이는 정년 연장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 무료 급식소 앞이 식사를 기다리는 어르신들로 붐비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cd4349f8b045a0.jpg)
9일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서울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서베이는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서울 시민의 인식과 삶의 질, 생활상, 가치관 등 전반적인 사회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자료로 항목에 따라 가구(2만 가구, 가구원 3만 6280명), 시민(5000명), 서울거주 외국인(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시민 일상, 생활 만족도, 행복, 공동체 노력, 디지털 정보격차, 노인 연령 기준 등의 항목으로 이뤄졌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0.69%포인트(p)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민들이 노인이라 생각하는 나이는 70.2세였으며 연령 기준을 세분화했을 때 응답은 70∼74세가 51.7%로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23.3%), 65∼69세(18.1%), 60∼64세(6.6%), 60세 미만(0.3%)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기준 연령은 70세부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명 중 9명 가까이는 정년 연장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 무료 급식소 앞이 식사를 기다리는 어르신들로 붐비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719e4d35ca2bc6.jpg)
응답자의 연령대로 구분하면 65세 미만은 69.8세, 65세 이상은 72.3세를 적정한 노인 기준 연령으로 꼽아 나이가 많을수록 노인 연령 기준도 높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 여부에는 87.8%가 동의했다.
적정 은퇴 시기는 65∼69세(40.5%),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는 250만원 이상(5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65세 이상 시민의 노후 희망 활동은 취미·교양 활동(78.8%)이나 소득 창출(70.3%)이 손자녀 양육(33.5%)보다 높았다.
서울시는 관내 2만 가구 가구원 3만 628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조사 결과 서울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은 39.3%, 1인 가구 지속 기간은 평균 8.01년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연령대는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고 20~30대가 34.9%, 40~50대 24.5% 순이였다.
1인 가구의 어려움은 균형 잡힌 식사(4.79점), 아프거나 위급 시 대처(4.71점), 가사(4.69점), 고립에 따른 외로움(4.43점), 경제적 불안(4.17점) 등이 꼽혔다.
또 5가구 중 1가구(19.5%)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77.8%가 개를, 19.2%는 고양이를 키웠고 개와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가구는 2.6%였다.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72%는 '중간'이라고 답했고 '하'는 24.6%, '상'이 3.4%였다.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67.8%로 2022년 60.6%, 2023년 63.4%에 이어 2년 연속 상승했다. 서울 시민으로 자부심을 느낀다는 답은 100점 만점에 68.6점으로 전년(68.4점) 대비 소폭 상승했다.
외국인이 생각하는 서울 랜드마크로는 2명 중 1명(48.4%)이 '광화문(광장)'을 꼽았고 '고궁'(36.8%), '한강'(23.8%), '동대문(DDP)'(23.5%), '시청 앞 광장'(20.6%)이 뒤를 이었다.
외국인이 서울에 거주하면서 느끼는 삶의 질 만족도는 6.97점으로 전년 6.72점 대비 0.25점 상승했다.
2024 서울서베이 조사 분석 결과 보고서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누리집에서 열람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시민의 삶의 질과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서울서베이 결과를 시정 운영과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일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서울시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빈 기자(gwnu20180801@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