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오른쪽부터)·김경수·김동연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첫 TV토론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2025.4.18 [국회사진기자단]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065ca5c5552214.jpg)
[아이뉴스24 김주훈 기자] 이재명·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8일 개헌 의지를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김 후보는 "3년 전 연대 당시 개헌을 약속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고, 이 후보는 "국민투표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개헌을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이날 MBC 100분토론에서 진행된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3년 전 이 후보와 함께 연대하면서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하고 임기 단축을 약속했다"며 "이후에 기대했지만, 당대표를 두 번 연임하면서도 노력은 보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대통령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그 약속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선거법 개정도 노력했지만, 여당의 반대가 상당히 심해서 단 한 발짝도 못 나간 것은 김 후보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분권형 개헌은 지금도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국민투표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개헌을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자 김 후보는 "대통령 당선이 안 됐기 때문에 약속을 지키기 어렵다는 말은 공감하기 어렵다"면서 "대통령 당선이 됐든 안됐든 각자 위치에서 분권형 대통령제와 정치 개혁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정치인의 도리가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검찰 개혁과 관련해 "'칼은 죄가 없다'고 발언한 것을 보면 검찰도 쓰기 나름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며 "어떤 의도로 말한 것인가"라고 물었다.
이 후보는 "제도라는 것은 언제나 완벽하지 않다는 것"이라며 "제도는 그 제도를 이용하는 사람의 태도가 더 중요하다는 말을 원칙적으로 한 것이고, 검찰 폐지 얘기도 있지만 실제로 아무런 대책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아울러 "효율적인 제도로 바꾸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제도를 운영하는 주체인 권력자를 국민이 잘 뽑고 잘 운영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이 후보의 반박에도 "권력 기관의 기득권은 정권 활용 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한 개혁은 확실하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주훈 기자(jhkim@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