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서울 마포구 LG CNS 상암 IT센터를 찾아 에너지저장장치(ESS·UPS) 시설의 안전관리 현황을 점검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에너지저장장치 시설에 대한 국민적 불안이 커지자, 정부가 주요 시설에 대한 점검에 나선 것이다.

점검에는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도 함께 참여했다. 점검 후에는 안전사고 예방 노력과 안전관리 강화, 기술개발 방향 논의가 이어졌다.
에너지저장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열폭주 현상을 완전히 막기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산업부는 관련 안전기준에 따라 사용 전 검사와 정기검사 등을 진행해왔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화재위험이 적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양산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전의 경우, 계통 안정화용 에너지저장장치를 설계할 때부터 내연 설계를 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운영 중 화재 위험성을 고려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전력거래소는 향후 에너지저장장치 중앙계약시장에서 입찰 공고를 낼 때, '전기저장시설 화재안전기준'과 '전기설비규정'의 시설기준 준수를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참가 기관들은 전압·전류·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 액침냉각기술, 수냉식 냉각장치, 소화장치 등 안전 기술을 탑재하지 않고는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 진출할 수 없다는 데도 뜻을 모았다.
정부가 발주하는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에서 배터리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 외에 양수, 열저장장치 등 화재위험이 거의 없는 '장주기 에너지 저장장치'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또 비리튬계(흐름전지, 나트륨-황 등) 차세대 장주기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는 등 민관 합동의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이호현 2차관은 “이번 배터리 화재로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만드는 에너지저장장치 산업이 다시 위축되는 우려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며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속도 만큼 안전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때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 고 말했다.
이 차관은 또 "국민이 신뢰할 수 있도록 안전을 최우선으로 에너지저장장치 설치와 운영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대전 유성구에 있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지난 26일 화재가 발생해 정부의 행정·공공서비스 시스템 약 647개가 일시 중단됐다.
당시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팩이 설치된 구역에서 케이블 분리 작업 도중 불꽃이 발생했고, 이후 배터리 열폭주로 화재가 발생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