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경찰, 국정자원 본원·관련업체 등 4곳 압수수색⋯업무상 실화 혐의


[아이뉴스24 김동현 기자] 경찰이 대규모 정부 전산 시스템 마비 사태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조사하기 위한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2일 경찰 등에 따르면 대전경찰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업무상 실화 혐의로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정자원 본원과 관련 업체 3곳 등 4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다.

지난달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관계자 등의 화재 정밀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관계자 등의 화재 정밀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찰 측은 약 30명의 인력을 투입해 리튬이온 배터리 이전 작업 관련 계약서 등 사고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전날까지 국정자원으로부터 각종 자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 받았으나, 국정자원 측이 요청 자료를 모두 제출하지 않자 강제수사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국정자원 측은 현재 시스템 복구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어 경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국정자원 관계자, 배터리이전 공사현장 업체 관계자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해 조사를 진행 중인 경찰은 이번 압수수색 결과 등을 토대로 구체적인 사고 원인 등을 밝힐 방침이다.

지난달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관계자 등의 화재 정밀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지난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이 나 정부24·국민신문고 등 국가 전산시스템 647개가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정부는 이후 복구 작업에 돌입했으나 화재 발생 1주일째인 이날 오전 2시 기준,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17.0%(647개 중 110개)에 그치고 있다.

/김동현 기자(rlaehd3657@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경찰, 국정자원 본원·관련업체 등 4곳 압수수색⋯업무상 실화 혐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