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국정자원 화재 여파 계속…허점 노린 '사이버 공격' 우려


늘어난 취약점…스미싱 등 '2차 피해' 주의
개인·기업 수칙 점검…'백업 체계' 보완해야

[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사태로 행정시스템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해킹 등 사이버 공격 증가에 대한 우려도 계속되고 있다. 연휴 이후까지 직접적인 해킹 피해와 더불어 스미싱, 피싱 등 '2차 피해' 확산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관계자 등의 화재 정밀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관계자 등의 화재 정밀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대전 국정자원 본원 전산실 화재 이후 피해 시스템이 순차적으로 복구되고 있으나 완전 복구까지는 최소 2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휴 기간에도 복구 작업이 계속되고 있으나 한 달이 넘는 행정시스템 공백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와 달리 핵심 보안장비는 사고 이후 대부분 재가동, 복구를 완료해 '보안 공백' 우려는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보안업계에서는 시스템 복구 과정에서 제한된 서버에 트래픽이 몰리거나 보안설비를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어 완전 복구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정보원 역시 사고 이후인 지난달 29일 국가 사이버 위기 경보 단계를 '관심(1단계)'에서 '주의(2단계)'로 상향하고 각 기관에 해킹 등 사이버 공격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황석진 동국대 국제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화재 사고가 해킹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긴 어렵지만, 연휴와 긴 복구 기간으로 취약점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며 "정부와 기업 등은 당분간 보안 인력 공백을 최소화하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직접적인 해킹 공격 외에도 정부·기관 등을 사칭한 스미싱·피싱 사기 등 일반인을 상대로 한 2차 피해가 증가할 수 있다. 사칭 전화나 문자를 받더라도 정부·기관 홈페이지가 복구 중이라 이를 확인할 방법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스미싱 신고 건수 약 389만건 중 절반 이상(53.4%)이 기관 사칭으로 확인돼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달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관계자 등의 화재 정밀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보안업계와 전문가들은 연휴 이후 행정시스템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의심스러운 문자의 바로가기(URL) 클릭에 유의하는 등 개인 보안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업의 경우 최근 증가하는 랜섬웨어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임직원들의 외부 기기를 통한 내부망 접속과 자료 반출에 주의하는 등 '보안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사고를 계기로 정부가 재해복구(DR) 시스템 등 데이터 이중화에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기업과 기관의 '백업(Back-up)' 체계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물리적 사고와 해킹, 랜섬웨어 공격 등 다양한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 백업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기업·기관들이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결국 비용 문제로 백업 체계 구축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현재 언급되는 '액티브-액티브(두 개 센터를 동시 운영하는 백업)' 방식이냐 '액티브-스탠바이(사고 발생 시 다른 센터 가동)'냐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작동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복구 체계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부연했다.

/박정민 기자(pjm8318@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국정자원 화재 여파 계속…허점 노린 '사이버 공격' 우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