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정신건강 진료 5년 새 2.7배 '폭증'·약제비도 2.3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영석(경기 부천시갑) 의원. [사진=의원실]

[아이뉴스24 김정수 기자] 최근 5 년간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우울증 등 정신건강 질환 진료가 2.7배, 약제비 총액은 2.3 배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ADHD 치료제 사용량이 최대 3.5배 증가하며, 정신건강 관리가 상담보다 약물 중심으로 기울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영석(경기 부천시갑)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정신건강 관련 약제비 및 성분별 처방 현황'에 따르면 ADHD 사용은 2020년 2,046만 건에서 2024년 5,617만 건으로 2.7 배 증가, 같은 기간 약제비 총액은 198억원에서 466억원으로 2.3배 증가했다.

성분별 처방 추이를 보면 대표적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는 2020년 1,581만 개, 2024 년 4,164만 개로 3.5배 늘어났다 .

아토목세틴은 3,926만 개에서 1억2,223만 개로 3.1배 , 클로니딘은 719만 개에서 2,302만 개로 3.2 배 늘었다.

서 의원은 "아동·청소년뿐 아니라 성인 ADHD 진단이 급격히 늘고 , 우울·불면 등 복합증상을 동반한 환자 처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HD 진료는 2022년부터 2023년 사이에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는데, 성인 (19세 이상) 환자는 2021년 대비 2022년에 61.5% 급증했고 , 고등학생 연령대 (16~18세) 에서도 같은 기간 40.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초등학생 (7~12세 ) 과 중학생 (13~15세 ) 역시 각각 32.5%, 31.5%로 동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은 2021 년이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다.

모든 연령대에서 동반 상승세를 보였는데, 7~12 세(46.4%) 와 0~6세 (48.9%) 어린 연령층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

서 의원은 "정신건강 문제를 단순히 약물 복용으로 관리하는 수준을 넘어 상담·회복·생활지원이 통합된 공공 정신건강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특히 지역사회 정신건강의료 전달체계를 강화하고 , 청소년·성인기 환자 관리의 공백을 메우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수원=김정수 기자(kjsdm05@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정신건강 진료 5년 새 2.7배 '폭증'·약제비도 2.3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