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2구역 재개발사업 시공권이 바뀔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으로 떠올랐다. 조합이 시공사로 선정했던 대우건설의 재신임 여부를 총회 안건으로 올리면서다. 총회 결과에 따라 대우건설의 시공권 유지 여부가 결정될 전망인데, 가결될 경우 사업추진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우건설이 제안한 한남2구역(한남써밋) 투시도 [사진=대우건설]](https://image.inews24.com/v1/9842e6b1a2024e.jpg)
1일 업계에 따르면 한남2구역 조합은 이달 27일 총회를 열고 대우건설에 대해 재재신임 여부를 묻기로 했다. 신임 투표는 2023년에 이어 두 번째다.
한남2구역은 서울시 용산구 보광동 272-3 일대 11만여㎡의 부지를 재개발해 아파트 1537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역세권이고 인근 보광초가 있어 한남뉴타운 내에서 생활 여건이 우수한 구역으로 꼽힌다.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조합과 시공사인 대우건설 사이 갈등이 커진 것이 사업 추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대우건설이 한남2구역 조합에 약속한 사안이 차례로 지켜지지 않았다면서 조합원들의 불만이 커진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대우건설은 롯데건설과 한남2구역 수주전을 벌이던 중 고도 제한을 118m까지 완화해 최고 층수를 14층에서 21층으로 올리는 '118프로젝트'를 제시했다. 구역은 남산 소월길 등 경관 보호를 위해 고도 제한 90m의 고도제한을 받고 있는데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이를 118m까지 완화하겠다는 것이다.
동시에 원안설계를 수정해 건폐율을 낮추고 84㎡ 이상 가구는 가구 당 1대의 프라이빗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대규모 커뮤니티 시설과 스카이브릿지, 덮개공원을 조성하기로 했는데 덮개공원은 수주 이후 단지 2블록과 3블록을 가로지르는 관통도로를 제거하는 것으로 수정했다.
그런데 2022년 11월 시공사 선정 이후 공약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조합원 지적이 이어지면서 2023년 9월 대우건설 신임을 묻는 총회가 열렸다. 당시 대우건설은 1년 후인 지난해 8월 31일까지 고도완화 공약 달성 여부를 봐달라고 요청하며 총회에서 재신임을 받았다. 하지만 지난해 8월까지 고도완화 허가를 받지 못함에 따라 반발이 커진 상태다.
대우건설과 조합이 추진해온 관통도로 제거 사안도 서울시 허가를 받지 못하며 시공권 변경 논란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조합과 대우건설은 구역 내 2블록과 3블록 사이를 관통하는 도로를 없애는 방향으로 서울시와 장기간 협의를 진행해 왔다. 두 블록을 나누는 도로가 사라질 경우 구역 내에서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면적이 늘어나고 195%대인 용적률이 202%까지 늘어나는 등 이점이 많아서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최근 해당 도로를 유지하라는 의견을 조합에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남뉴타운 사업으로 지역 내 차량 통행량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한남2구역을 관통하는 도로를 없앨 경우 이태원로와 보광로 등 주변 도로 교통체증이 심화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시가 입장을 전달한 후 조합은 도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서울시와 논의를 재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남2구역 관통도로 제거는 한남뉴타운 전체 교통량과 교통 체계를 고려했을 때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면서 "조합이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도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우건설이 제안한 한남2구역(한남써밋) 투시도 [사진=대우건설]](https://image.inews24.com/v1/d26e57e498fdf7.jpg)
고도 제한 완화와 관통도로 제거 등 추진했던 사업이 잇따라 무산된 후 조합은 총회를 열어 대우건설의 시공 자격에 대해 조합원 의견을 묻기로 했다. 지난달 26일 열린 이사회 결과 투표에 참여한 이사 7명 전원이 대우건설 신임을 묻는 총회를 여는 데 동의했다.
27일 총회에서 대우건설이 시공사 지위를 잃을 경우 조합은 곧바로 시공사 선정을 재추진할 계획이다. 뒤이어 관리처분과 이주·철거 등 속행할 계획이다. 이 경우 일정 기간 사업 지연은 불가피하다.
조합 관계자는 "총회에서 대우건설에 반대하는 조합원이 많다면 시공사 선정 절차를 재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상황을 두고 정비업계 관계자는 "시공사를 다시 선정할 경우 1~2년 사업지연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로인해 사업성이 악화하고 입주가 늦어지는 등의 문제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