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반도체 관세 사흘간 5번 말바꾼 美…기업들 "어쩌란 말이오"


11~13일 백악관-트럼프 SNS-러트닉 메시지 혼란 가중
트럼프 "반도체 공급망 살펴본 후 관세 발표할 것"
"바이든 때 반도체 공급망 조사에만 100일 걸려"

[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관세 당국이 지난 11일부터 13일(현지시간) 사흘간 '반도체 관세' 관련 발표를 5번이나 번복하면서 업계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반도체 기업들 사이에선 "하루 밤만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정책이 발표된다"는 말까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건강검진 결과가 공개됐다. 사진은 법원 앞에서 취재진에 말하는 트럼프. [사진=로이터/연합뉴스]

14일 미국 관세 당국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미국 관세청의 '특정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발표를 시작으로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게시글과 기자들과 질의응답까지 반도체 관세 관련 정책이 5번이나 조금씩 다른 내용으로 언급됐다.

혼란의 시작은 11일 밤 10시30분경 미 관세청이 홈페이지에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발표부터다.

미 관세청은 이 발표에서 "노트북, 서버,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스마트폰, 태블릿, 라우터,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하드 드라이브, 그래픽카드, 메모리 모듈, 다이오드, 반도체 부품, 태양광 셀, 집적회로, 광섬유 케이블, 절연 전선 및 케이블 등의 품목을 상호관세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품목별 무역 코드까지 게재한 관세청 발표 후 백악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반도체 및 전자제품 관세를 면제한다"고 밝히며 시장의 기대를 키웠다.

블룸버그통신도 이 발표에 대해 "엔비디아나 미국의 전기전자 업체와 대만, 한국 기업들에 호재"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도 있지만 전자부품 공급망에는 좋은 소식"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지지자로 유명한 미국의 억만장자인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털 회장도 자신의 SNS에 "이번 전자기기 관세 면제 조치는 트럼프가 중국에 대해 화해 제스춰를 보낸 것"이라며 "긴장 완화 시작의 기회"라고 남기기도 했다.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기기, 반도체 품목에 대한 상호관세를 면제한 데 대해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하고, 애플의 아이폰을 포함한 전자제품 가격 급등 우려가 터져나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재차 등장해 반도체 관세가 아직 꺼진 불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다음주 월요일(14일)에 반도체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것이다.

곧이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13일(현지시간) 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이번 전자기기와 반도체 관세 면제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다"라며 "약 한두 달 안에 발표될 반도체 품목 관세에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도 포함될 것"이라고 추가 조치 발표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재차 SNS에 "지난 금요일(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다.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남겼다. 이어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백악관 출입기자단과 질의응답에서 스마트폰과 반도체 관세 관련 질문을 받고 "매우 금방 발표될 것이다. 우리는 기업과도 대화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애플의 아이폰 가격 상승을 우려하는 미국 내 여론을 염두한 듯 "약간의 유연성을 보여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에 일부 품목에 유연성을 보여야 하느냐는 질문이 이어지자 "일부 품목에, 아마도"라고 답했다.

산업계에서는 전 정부인 바이든 행정부 당시 조사했던 반도체 공급망 보고서를 바탕으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를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2021년 9월 전 세계 주요 반도체 기업 150곳으로부터 공급망 관련 자료를 제출받았고, 2022년 1월 분석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나 러몬도 전 상무장관 주도로 미 상무부와 관련 연구소들은 2021년, 2022년, 2024년까지 첨단 반도체부터 범용(레거시) 공정 제품까지 공급망을 조사한 바 있다.

삼성전자의 CXL 메모리 제품 'CMM-D'. [사진=삼성전자]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전략, 기획, 통상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 내 피로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 정책에 따라 기업들의 대응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운영에 필요한 제품의 59%를 국내에서 조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높은 물가를 고려해 한국에서 원자재를 공수하고 있었다는 의미로, 관세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한숨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정책이 발표돼 있어 보고를 위한 보고가 반복되고 있다"고 귀띔했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반도체 관세 사흘간 5번 말바꾼 美…기업들 "어쩌란 말이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