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산불 진화 헬기, 외산 94%⋯국산 헬기는 단 3대


산림청 헬기 8대 운항 불가⋯부품 분해해 수리하는 돌려막기식 운용
"국산 헬기 도입 확대해야⋯유지·보수나 부품 수급 수월해질 것"

[아이뉴스24 최란 기자] 최근 경남 산청, 경북 의성 등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진화 현장에서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사고 등이 발생하면서 헬기 노후화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외산 헬기 의존도는 여전히 높고, 노후 기체는 운항조차 어려운 상황에 업계에서는 국산 헬기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경남 산청군 지역 산불 발생 나흘째인 지난달 24일 오후 산림청 헬기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남 산청군 지역 산불 발생 나흘째인 지난달 24일 오후 산림청 헬기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산림청이 운용 중인 헬기는 총 50대다. 이 중 47대(94%)는 외산, 국산 헬기는 단 3대(6%)에 불과하다.

특히 산림청의 주력 기종인 러시아산 KA-32(카모프)는 29대로 전체의 58%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이 중 8대가 운항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이에 산림청은 8대의 헬기 부품을 분해해 다른 헬기를 수리하는 '돌려막기' 식으로 운용하고 있다.

현재 카모프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여파로 부속 수급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부품이 없으면 정비는 물론 운항도 불가능하다.

임차 헬기의 문제도 있다. 산림청은 올해 산불 대응을 위해 외국산 헬기를 임차해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 기체 노후화(평균 기령 40년)로 안전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지난 3월 26일 의성 산불 진화 과정에서 추락한 헬기 역시 30년 된 S-76B 기체였다.

이에 따라 업계 일각에서는 국산 헬기 수리온의 도입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경남 산청군 지역 산불 발생 나흘째인 지난달 24일 오후 산림청 헬기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7일 육군 수리온 헬기가 경북 의성군 안계면 개천저수지에서 밤비버킷(물주머니)에 산불 진화용 물을 급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KAI 따르면 이번 산청, 의성 등 산불 진화를 위해 수리온 군·관용 헬기는 270여 회 투입됐다.

산불 발생 초기인 3월 22일에는 △군용 2대 △경찰 1대 △소방청 1대 △산림청 1대가 투입됐으며, 산불이 거세지기 시작하면서 3월 29일에는 △군용 33대 △경찰 4대 △소방청 3대 △산림청 3대로 총 43대의 수리온이 산불 화재 현장에 투입됐다.

현재 배치된 수리온의 실질 담수량은 2톤으로 2.5톤의 담수량을 지닌 카모프보다 적지만, 2.7톤급 물탱크로 개조 사업을 진행 중이다.

KAI는 지난해 8월 계약된 강원도 소방용 수리온 헬기부터 물탱크 용량을 2.7톤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용 효율성도 뚜렷하다. 카모프 30대를 운용할 경우 연간 유지비는 약 285억원, 수리온 30대는 176억원으로 약 110억원 절감이 가능하다.

특히 수리온은 카모프와 달리 야간에도 산불 진화에 투입할 수 있는 점이 큰 장점이다. 수리온에는 야간임무 취약점 극복을 위한 다양한 장비를 탑재할 수 있다. 야간 시계확보를 돕는 EVS(ENhaced Vision Sytem)와 야간투시장비(NVG) 등이다.

또 4축 자동조종장치(AFCS) 적용으로 자동제자리비행 기능이 있어 안정적 담수가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국산 헬기를 도입하면 유지·보수나 부품 수급이 훨씬 수월해지고, 돌려막기식 비효율 운영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최란 기자(ra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산불 진화 헬기, 외산 94%⋯국산 헬기는 단 3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