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한화, 본격 3세 경영 시작…"유증 논란 증여로 잠재웠다"


삼형제 ㈜한화 지분 절반 근접한 42.67% 보유
김승연서 동관·동원·동선 3세 경영 체제 돌입
한화에어로 유증 논란 차단 및 ㈜한화-에너지 합병설 일축
증여세 2218억원…개인 보유 자산과 금융권 차입 통해 마련

[아이뉴스24 이한얼 기자] 한화그룹이 본격 3세 경영 시대를 알렸다. 김승연 회장은 자신이 보유 중인 ㈜한화 지분을 삼형제에게 증여키로 하면서 유상증자로 불거진 경영승계 목적 논란을 불식시켰다는 설명이다.

왼쪽부터 김동선 부사장, 김동원 사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김동관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왼쪽부터 김동선 부사장, 김동원 사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김동관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31일 김 회장은 자신이 보유한 ㈜한화 지분을 장남인 김동관 부회장과 차남인 김동원 사장, 삼남인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밝혔다.

증여 이전 삼형제의 ㈜한화 보유 지분은 31.35%였으나 이번 증여 이후 총 42.67%로 11.32%포인트(p) 늘게 됐다. 세부적으로 ▲김동관 9.77% ▲김동원 5.37% ▲김동선 5.37% ▲한화에너지 22.16%다. 한화에너지는 삼형제가 지분을 100% 소유 중인 가족회사다.

김 회장의 지분은 애초 22.65%에서 11.33%로 11.32%p 줄게 됐다. 한화 측은 증여 이후 김 회장에게 남은 지분 활용 여부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해진 게 없다는 설명도 전했다.

이번 증여로 한화그룹은 본격적인 3세 경영 시대를 맞게됐다. ㈜한화의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 중인 김동관 부회장을 필두로 동원·동선의 경영 체제가 안정감을 얻게됐고 삼형제의 ㈜한화 보유 지분 역시 절반에 근접하게 됐기 때문이다.

㈜한화는 방산 에너지 유통 금융 등 각 계열사의 지분을 최소 30%에서 많게는 100%까지 보유하고 있어 ㈜한화를 지배하게 되면 한화 그룹을 지배하는 것과 다름없다.

김동관 부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오션·시스템·솔루션 등 조선·방산·석유화학 계열사, 김동원 사장은 한화생명·자산운용·투자증권 등 금융 계열사를 이끈다. 김동선 부사장은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갤러리아·로보틱스 등 유통 분야를 맡게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증여 이후 삼형제의 사업 별로 지주사의 계열 분리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는다. 금융 계열사를 담당하는 김동원 사장의 경우 한화생명을 중심으로 ㈜한화에서 계열을 분리하고, 유통을 맡고 있는 김동선 부사장은 한화갤러리아를 지주사로 하는 방안의 계열 분리 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화에너지도 최근 주관사를 선정하고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상장 이후 충분한 수준의 자금을 확보하게 되면 ㈜한화를 정점으로 하는 지주사의 계열 분리 작업도 용이해질 수 있다. 한화 측은 이와 관련해 "따로 전할 말이 없다"면서 해석의 여지를 남겨놨다.

한화그룹 본사 사옥 전경.

이번 증여 결정은 앞서 불거졌던 한화에어로의 유증 논란을 차단하려는 움직임인 것으로 보인다. 한화에어로는 지난 21일 3조 6000억원의 유증을 진행키로 했는데 이 결정이 삼형제의 승계구도 강화와 맞물려 있다는 해석이 제기됐다.

특히 유증에 앞서 한화에어로가 한화에너지·한화에너지싱가포르·한화임팩트파트너스가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 7.3%를 1조 3000억원에 매수하기로 하면서 승계구도에 필요한 자금을 대주기 위함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한화 관계자는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신속히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김 회장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화 측은 '㈜한화와 한화에너지의 합병설'과 맞물려 ㈜한화의 주식 가치를 떨어뜨릴려는 전략 등 세간의 부정적 전망을 완전히 불식했다는 입장이다.

한화 관계자는 "㈜한화와 한화에너지의 합병 계획은 전혀 없는 상황이다"면서 "이번 증여 결정으로 인해 고의로 ㈜한화의 주식을 하락시키려 한다는 우려도 완전히 해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지분 증여로 삼형제가 납부할 증여세는 2218억원(3월4일~31일 평균 종가 기준)으로 개인 보유 자산과 증여 주식을 담보로 금융권에서 차입해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화 관계자는 "과세 기준 가격은 한 달 후인 4월 30일 기준 전후 각각 2개월 주가 평균 가격으로 결정된다"며 "이에 따라 주가가 낮은 시점에 증여를 결정했다거나 주식 가격을 의도적으로 낮췄다는 주장은 가능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한얼 기자(eol@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화, 본격 3세 경영 시작…"유증 논란 증여로 잠재웠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