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유튜브·페이스북 등 美 플랫폼에 '불똥'?⋯'관세폭탄'에 큰 손 테무·쉬인 광고 줄여


[아이뉴스24 설래온 기자] 미중 관세 전쟁이 격화된 가운데,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무'와 '쉬인'이 미국의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광고 지출을 대폭 삭감했다.

미중 관세 전쟁이 격화된 가운데,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무'와 '쉬인'이 미국의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광고 지출을 대폭 줄였다. [사진=테무]
미중 관세 전쟁이 격화된 가운데,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무'와 '쉬인'이 미국의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광고 지출을 대폭 줄였다. [사진=테무]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센서타워 자료를 인용, "테무가 이달 13일까지 2주 동안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보유한 메타, 엑스(X·옛 트위터), 유튜브 등에 대한 광고 지출을 전월 대비 평균 31% 줄였다"고 보도했다.

또 "이달 첫 2주간 메타, 틱톡, 유튜브, 핀터레스트에서 쉬인의 일일 평균 광고 지출도 19%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테무는 중국을 겨냥한 광범위한 관세가 도입된 지난 9일부터 구글 쇼핑 플랫폼에 대한 광고 지출을 모두 삭감했다.

이에 대해 매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에서 아마존 등 경쟁사를 제치고 급성장한 테무와 쉬인의 광고 지출 축소는 미중 무역갈등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 업체들에 광고 공간을 제공해 온 메타 등 미국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짚었다.

글로벌 마케팅 리서치 업체 WARC는 "테무와 쉬인 두 회사 고객의 브랜드 충성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광고 삭감이 매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광고해야 한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미중 관세 전쟁이 격화된 가운데,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무'와 '쉬인'이 미국의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광고 지출을 대폭 줄였다. [사진=테무]
지난 2018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8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에서 관람객들이 전시된 작품들을 감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대상으로 20%의 보편관세와 125%의 상호관세 등 총 145%에 달하는 추가 관세를 부과해 왔다. 여기에 이날 백악관은 100%를 추가, 총 24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맞서, 중국 정부도 지난 11일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인상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아울러, 미국 측의 245% 관세 방침에 대해 "미국이 숫자놀음을 계속 해도 무시하겠다"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설래온 기자(leonsig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유튜브·페이스북 등 美 플랫폼에 '불똥'?⋯'관세폭탄'에 큰 손 테무·쉬인 광고 줄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