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 자금 대출 지원이 한창인 가운데 빠르게 소진되는 재원 때문에 당국이 대출 재원을 증액할지 살펴보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와 기획재정부는 소상공인진흥공단을 통한 대출 등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자금 지원을 늘리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전체 12조원 규모의 프로그램으로 (사업을) 시작한지 열흘도 안됐다. 당분간은 좀 더 상황을 봐야 한다"며 "(자금 증액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하는 단계다. 이제 시작했기 때문에 현재 상황을 좀 더 지켜보자는 추세다"라고 말했다.

일명 '코로나 대출'의 추가 재원 마련을 검토하고 있으나 추이를 지켜보면서 판단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달 24일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에 따라 지난 1일부터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12조원 규모의 초저금리 금융지원 패키지를 가동, 정책 자금 대출을 해주고 있다.

이 안에는 지난 1일부터 소상공인진흥공단을 통한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2조7000억원이 포함된다. 같은날 시중은행 14개를 통해 내놓은 '이차보전 대출'이 3조5000억원 규모고, 6일부터는 기업은행을 통한 '초저금리대출'이 5조8000억원 규모로 풀렸다.
증액을 하게 되면 중기부 산하 기관인 소상공인진흥공단 등에 대해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통해서 자금을 증액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벌써 코로나대출 자금의 추경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다른 기관 관계자는 "(소진공의 코로나대출 자금에 대해) 중기부가 기재부, 국회 등과 예산 협의를 통해서 추경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정부에서 '증액 카드'를 검토하는 것은 소상공인을 위한 자금 수요가 많아 빠르게 재원이 소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재원이 줄어들수록 급전이 필요한 소상공인들의 불안감도 커질 수 밖에 없다.
앞서 소진공의 경우 자금 2조7000억원 중 1조7000억원이 실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소진공은) 기존에 보증서를 통한 대리(간접) 대출 등이 있어 1조7000억원이 소진된 것이다"라며 "신용등급 1~3등급의 고신용자는 시중은행 등을 통한 대출을 받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과 시중은행의 초저금리대출과 이차보전대출의 자금도 수요가 많은 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자금이)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소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라며 "소진공에서 (대출을) 기다리다가 힘든 소상공인들이 은행쪽으로 넘어온 수요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효정 기자 hyoj@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