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종성 기자] 롯데쇼핑이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하며 5년째 실적 부진을 이어갔다. 명품 인기에 힘입어 백화점의 실적은 개선됐지만, 마트와 이커머스의 영업적자가 확대되고, 홈쇼핑과 롯데하이마트는 영업이익이 줄었다.
![롯데쇼핑은 백화점 부문의 실적 개선에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38% 감소했다. 롯데백화점 본점 전경. [사진=롯데쇼핑]](https://image.inews24.com/v1/52e4f17f4f5ac2.jpg)
롯데쇼핑은 8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15조5천812억원으로 전년보다 3.7% 감소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37.7% 줄어든 2천156억원, 순손실은 2천868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쇼핑은 지난 2017년 이후 5년 연속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백화점이 유일하게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매출액은 8.8% 늘어난 2조8천880억원, 영업이익은 6.4% 늘어난 3천490억원이었다. 판매관리비가 늘었지만 명품 등 해외 패션 등의 매출이 증가하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롯데마트는 매출액 5조7천160억원으로 7.2% 감소했고, 영업적자는 전년도 130억원에서 320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 점포 폐점과 창고형 할인점으로의 리뉴얼 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었고, 4분기에 희망퇴직 비용 106억원이 반영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슈퍼 역시 내식 수요가 둔화되면서 매출이 12.3% 감소한 1조4천520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적자는 50억원으로 전년(200억원 적자)보다 적자 폭이 줄어들었다.
이커머스 사업부인 롯데온은 지난해 매출액이 21.5% 감소한 1천80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적자는 950억원에서 1천560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기존 종합몰에서 오픈마켓으로 운영 형태를 변경하며 사업 조정 등으로 매출이 감소하고 비용이 늘었다. 자체 사이트 거래액은 2조4천105억원으로 48.2% 증가했다.
홈쇼핑은 매출(1조1천30억원)이 2.5% 늘었지만 판매관리비가 증가하면서 영업이익(1천20억원)은 18.5% 줄었다.
하이마트는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백색가전 판매가 급증했던 데 따른 역기저효과로 매출(3조8천770억원)과 영업이익(1천130억원)이 각각 4.3%, 29.6% 줄었다.
컬처웍스는 영화관 사업이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받으며 매출이 11.6% 감소했다. 그러나 판매관리비 효율화를 통해 영업적자(1천320억원) 규모를 전년대비 280억원 줄였다.
롯데쇼핑은 점포 폐점과 희망퇴직 등의 체질 개선 노력이 지난해 실적에 반영됐다고 보고 올해는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백화점은 본점과 잠실점 등 주력 점포의 명품 상품 기획을 강화하고 마트는 식품 분야에 집중하면서 대규모 리뉴얼을 계획 중이다. 지난 2년간 146개 부진 점포를 정리한 슈퍼는 올해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올해 각 사업부의 본업 경쟁력을 강화해 실적 반등에 나설 계획"이라며 "지난해 미래 먹거리 확보 차원에서 진행했던 한샘, 중고나라 등에 대한 투자의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