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구글이 유튜버를 대상으로 망사용료 관련 입장을 내달라고 호소한 가운데 크리에이터를 동원해 우리나라 정치권과 ISP(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를 비난한 '초유의 사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김성진 기자]](https://image.inews24.com/v1/3c4b49ccff9442.jpg)
21일 오후 국회 본관에서 열린 방송통신위원회 소관기관 대상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윤영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반대서명운동을 하고 유튜버에게 한마디 해달라고 하는 등 정치권을, ISP를 비난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책임 소지가 없느냐"고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에게 질의했다.
유튜버에게 개입을 강요하거나 피해를 전가하는 행위는 잘못된 판단이라는 지적이다. 윤 의원은 "구글은 망사용료법 통과 시 한국에서의 사업 운영 방식을 바꿀 수도 있다는 등 불이익을 예고했다. 이건 사실상 협박"이라며, "유튜버들은 왜 동원한 것이냐"고 물었다.
구글 측은 "동원한 적 없다"고 했다. 동원이 아닌 '목소리를 내달라는 호소'였다는 반박이다. 김 사장은 "(망사용료 이슈와 관련해) 저희는 유튜버를 동원한 적 없다. 목소리를 내달라고 호소한 것"이라며 "호소를 부탁드린 것이지 그들을 선동하거나 지시한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네이버·카카오가 접속료와 별도로 국내 ISP에게 망 이용료를 내고 있는 점과 달리 구글 등 CP는 망 이용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있다. 이에 다수 국회의원은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일명 망무임승차방지법)을 발의했다. 국내 ISP 네트워크 망 트래픽을 과도하게 높이는 데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이날 방통위 종합감사 일반증인으로는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 ▲안쳘현 애플코리아 부사장 ▲정교화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전무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 등이 참여했다.
/안세준 기자(nocount-ju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