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우리나라가 지난해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은 수출단가는 소폭 증가한 반면, 석유·석탄·가스 등 3대 에너지를 중심으로 수입단가가 크게 치솟았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왔다.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인 메모리 반도체의 수출단가가 환율 상승분보다 낮은 증가폭을 기록한 것도 주효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478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의 무역적자다. [사진=HMM]](https://image.inews24.com/v1/3ac292ca19b081.jpg)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22년 무역수지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478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의 무역적자로, 수입단가의 높은 상승(20.0%)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석탄, 석유, 가스 등 3대 에너지의 수입단가가 2021년 대비 64.5% 상승하면서 3대 에너지 수입 증가액(785억 달러)이 지난해 우리 무역적자 규모(478억 달러)의 1.6배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입액은 총 7천314억 달러로 전년대비 18.9% 증가한 반면, 수출액은 총 6천836억 달러로 전년대비 6.1%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무역흑자 규모가 가장 컸던 2017년(952억 달러 흑자)과 비교하면 수입액은 52.8% 증가한 반면, 수출액은 19.2% 증가에 그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478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의 무역적자다. [사진=HMM]](https://image.inews24.com/v1/2b60e6110303c9.jpg)
지난해 무역적자는 높은 수입단가 상승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 대비 2022년 우리나라 수출입 단가와 수출입 물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 수입단가는 20.0% 오른 반면 수출단가는 7.3% 상승하는데 그쳤다. 수입물량(0.9% ↓)과 수출물량(1.1%)은 모두 소폭 변화해 수출·수입물량이 우리 무역적자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에너지가격 상승은 우리나라 수입단가 상승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에너지(석탄·석유·가스)의 2022년 수입액은 2021년 대비 785억 달러 늘었는데, 수입물량은 3.2% 늘어난 반면 수입단가는 64.5%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난해 3대 에너지 수입 증가액(785억 달러)은 우리나라 전체 수입 증가액(1천163억 달러)의 67.5%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경총 관계자는 "3대 에너지 수입 증가액은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무역적자(478억 달러)의 1.64배에 달했다"며 "지난해 우리 무역수지 적자의 주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478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의 무역적자다. [사진=HMM]](https://image.inews24.com/v1/6e5377d67bff5d.jpg)
반면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메모리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집적회로는 지난해 수출단가(0.9%)와 수출물량(2.3%) 모두 전년대비 증가했지만, 수출단가가 환율 상승분(12.9%)보다 낮은 증가 폭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무역수지에 기여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5대 무역적자국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일본, 카타르, 독일 등이 포함됐다. 이 국가들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총 1천167억 달러로 2021년(908억 달러 적자)보다 적자 규모가 28.5%(259억 달러) 늘었다. 특히 산유국인 대사우디아라비아 무역적자 규모는 2021년 210억 달러에서 2022년 368억 달러로 75.6%(158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베트남, 미국, 홍콩, 인도, 싱가포르는 지난해 우리나라의 5대 무역흑자국으로 꼽혔다. 이 국가들에 대한 흑자 규모(총 1천78억 달러)는 2021년(1천17억 달러 흑자)보다 6.0%(61억 달러) 늘어나는데 그쳤다. 5대 무역흑자국 중에서는 베트남, 미국 등 4개국에 대한 흑자가 늘고 홍콩에 대한 흑자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지난해 우리 경제가 역대 최대 무역적자를 기록했고, 올해 1분기 역시 반도체 수출 부진, 높은 에너지 가격 등 영향으로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어 기업들의 우려가 크다"며 "향후 우리 기업이 세계 경제를 선도할 '초크 포인트(Chokepoint, 전 세계 소수 국가나 기업만 가질 수 있는 핵심 소재나 기술 등을 의미)'를 발굴·선점해 향후 재편될 무역구조에서 한국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