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혜경 기자] 정부가 올해 6월까지 인공지능(AI) 보호 원칙과 데이터 처리 기준을 제시하는 'AI 데이터 안전 활용 정책 방향'을 수립한다.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맨 오른쪽)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 사후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개인정보위]](https://image.inews24.com/v1/553db8927a0fb7.jpg)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14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초거대 AI 시대를 견인하려면 국민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 위원장은 "자신의 개인정보를 내 뜻대로 활용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가 모든 분야에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며 "AI로 인한 국민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개인정보위는 데이터 수집과 AI 학습, 서비스 제공 등 AI를 활용하는 전 과정에서 지켜야할 원칙과 기준을 제시할 계획이다. AI 학습을 위해 공개된 정보나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가 빈번하게 수집되고 있는 만큼 명확한 원칙이 필요하다는 것.
AI 학습 시 적절한 가명처리 수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영상·음성 등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가명처리 방법 등도 안내할 방침이다.
앞서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으로 AI를 활용한 채용 면접 등이 국민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결정을 거부하거나 설명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신설된 바 있다. 위원회는 내년 3월 시행 전까지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고 위원장은 "글로벌 데이터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처리되고 있다는 국민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며 "신기술·신산업에 적합한 개인정보 보호 원칙과 기준을 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경 기자(hkmind900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