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국자원 화재 나흘째, 복구 62개 그쳐…"클라우드 기술 도입 시급"


정부24·우체국금융 서비스 등 우선 복구…정상화에 최대 4주
재해복구·멀티클라우드 미비…공공 인프라 운영 재점검 필요

[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 전산실 화재가 발생한 지 나흘째인 29일 복구된 정부 서비스는 전체 647개 가운데 62개로 나타났다. 정부24, 우체국 금융 서비스 등 일부 핵심 시스템은 우선 복구됐지만 모바일신분증, 무인민원발급기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는 여전히 멈춰 있어 국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이 29일 오후 국자원 화재 복구 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KTV 유튜브 캡쳐]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이 29일 오후 국자원 화재 복구 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KTV 유튜브 캡쳐]

행정안전부는 29일 오후 12시 기준 복구 현황 브리핑에서 "1등급 업무는 16개 44.4%가 정상화됐다"며 "추석연휴 앞두고 수요 급증이 예상됐던 우체국 금융 서비스를 우선 복구했고, 국민 일상 서비스인 정부24 서비스가 이날 오전 8시30분경 복구됐다"고 밝혔다.

복구된 62개 서비스에는 △정부24 △행안부 모바일신분증(발급 제외) △문서유통시스템 △복합인증시스템 △정부암호이용시스템 △해수부 해운화물물류정보시스템 △국세청 대표홈페이지 △관세청 내부정보통합시스템 △통계청 통계데이터센터 △과기정통부 우체국 인터넷예금·스마트보험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주요 서비스가 포함됐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민신문고 등 민원처리 시스템은 방문, 우편접수 등 오프라인 대체 창구를 운영 중이며, 국가법령정보센터는 대체 사이트를 안내하고 있다. 장애 복구 시간을 고려해 9월 재산세 납부 기한 등 각종 세금 납부와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하고 수수료도 전면 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에서 이용 가능한 대체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안내하고 있다"며 "나아가 각 기관별로 민원 전담 지원반을 가동해 이번 장애로 발생하는 특수 상황을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화재로 직접 손상된 96개 시스템은 국자원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재설치가 진행된다. 물리적 서버 재구축과 데이터 이관이 필요해 완전 정상화까지는 수주가 소요된다. 김 차장은 "정보 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이 29일 오후 국자원 화재 복구 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KTV 유튜브 캡쳐]
29일 오후 12시 기준 복구 완료 서비스 현황. [사진=행안부]

시스템 정상화, 왜 늦어지나

업계는 복구가 지연되는 주요 원인으로 분산 체계 미비 등을 지적했다. 백업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공주 재해복구센터는 건물은 완공됐으나 예산 부족으로 전산환경이 갖춰지지 않아 사실상 단일센터 체계로 운영됐다.

국자원의 백업도 1·2등급은 일 단위, 다수 시스템은 월 단위로 이뤄져 실시간 동기화가 아니었다. 이 구조에서는 자동 전환(페일오버)이나 신속 복구가 어렵다.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해 데이터를 분산했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이번 복구 과정에서 민관 클라우드 존이 활용되면서 공공 클라우드를 민간 데이터센터로 분산 이전하는 필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나아가 단일 사업자·단일 센터에 집중된 구조가 아닌 멀티리전·멀티클라우드 기반의 분산 복구 체계 확대 도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 역시 멀티클라우드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행안부는 대전·광주·대구 등 여러 센터를 연계하는 멀티리전·이중화 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 중이다. 보안이 중요한 핵심 시스템은 공공클라우드센터에서, 일반 업무 시스템은 인증 받은 민간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추진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는 기본적으로 멀티리전·멀티클라우드 체계로 설계돼 있기 때문에 대형 재난 상황에서도 빠른 복구가 가능하다”며 “정부도 온프레미스(구축형) 중심에서 벗어나 분산 복구 체계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국자원 화재 나흘째, 복구 62개 그쳐…"클라우드 기술 도입 시급"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