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일부·산하기관 '해킹 비상'…사이버 공격 4년간 4배↑, 1만1000건 넘어


누적 1만1000여 건 탐지…올해 8월까지 2,700여 건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공격 5.3배로 가장 큰 폭 증가
홍기원 의원 "국가안보 직결…철저한 대비 태세 갖춰야"

통일부 CI. [사진=통일부]

[아이뉴스24 임정규 기자] 통일부와 산하기관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 시도가 최근 수년 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보안 위협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평택갑)이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통일부와 산하기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는 지난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1만1187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지난 2021년 1056건에서 지난해 4167건을 기록, 지난 4년간 공격 횟수가 약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돼 최근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2021-2024년 상반기 통일부 및 산하기관 대상 연도별·기관별 사이버 공격시도. [사진=홍기원 의원실]

통계상으로는 △2021년 1056건 △2022년 1255건 △2023년 1982건 △2024년 4167건을 기록했으며, 올해에는 8월까지만 2727건이 탐지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기관별로는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 대한 공격이 지난 2021년 468건에서 지난해 2491건으로 5.3배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통일부도 같은 기간 3.1배,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남북하나재단)은 2.4배 늘어나는 등 전반적인 보안 위협이 가중되는 추세이다.

지난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통일부 및 산하기관을 상대로 하는 사이버 공격에 사용된 국가별 IP는 미국(2581건)이 가장 많았고, 중국(1676건), 국내(902건) 순으로 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통일부 측은 "해커가 여러 경유지 IP를 활용해 공격을 시도하는 때문에 정확한 공격 IP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현재 국가 사이버안보센터와 긴밀히 협력해 소속·산하기관에 대한 해킹 등 보안 위협을 차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통일부와 산하기관들을 상대로 하는 사이버 공격 시도 횟수가 폭증하고 있는 만큼, 향후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홍기원 의원은 “통일부와 산하기관에 대한 해킹은 국가안보 위기와 직결된다”며 “각 기관은 앞으로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 피해가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평택=임정규 기자(jungkuii@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통일부·산하기관 '해킹 비상'…사이버 공격 4년간 4배↑, 1만1000건 넘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