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방통위, 초고속 해지지연 피해예방 약관 개선안 마련


해지지연으로 인한 과금 못하도록 약관 바뀌어

[강호성기자] 초고속인터넷 해지때 소비자 피해를 줄이는 약관 개선안이 나왔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계철)는 초고속인터넷 사업자의 해지관련 이용약관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올해 초부터 5월말까지 방통위에 접수된 초고속인터넷 해지지연 관련 민원을 보면 ▲해지지연 및 신청접수누락 399건 ▲일방적 요금부과 197건 ▲까다로운 해지방법 86건 ▲모뎀회수지연 19건 등 해지지연 피해사례가 총 701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해지제도 운영실태 점검을 통해 제도개선 방안을 내놓았다.

이용자의 해지신청일과 해지희망일 모두가 입증되지 않아 해지분쟁이 생긴 경우가 종종 생긴다. 방통위는 해지지연이 장기화되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해지분쟁 발생 다음날부터 과금을 중단토록 했다.

해지희망일은 입증할 수 없지만 최초 해지신청일을 입증할 수 있는 경우 해지신청일 이후 부과·납부된 요금은 이용자에게 돌려주도록 하는 내용을 이용약관에 규정하도록 했다.

또한 사업자가 해지신청접수 또는 해지처리종료 시기 중 한 차례만 문자메시지(SMS 등)로 통보하던 것을 해지신청접수 및 해지처리종료시 모두 이용자에게 통보토록 현행 이용약관 규정을 개선했다.

방통위는 이를 통해 이용자의 해지신청사실의 입증과 기 납부된 요금의 환급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해지업무처리시 사업자가 임대해준 모뎀, 셋톱박스 등과 같은 장비의 회수지연으로 이용자에게 임대료 또는 분실·훼손료를 부과하는 피해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자의 장비 회수기한을 해지일 또는 고객과 협의일로부터 7일 이내로 설정했다.

이 기간 경과시 이용자에게 장비 분실 또는 훼손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없도록 이용약관에 반영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번 초고속인터넷 해지처리제도 개선방안을 7월 초부터 시행할 계획"이라며 "향후 이용자의 해지처리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이용자 피해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호성기자 chaosing@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방통위, 초고속 해지지연 피해예방 약관 개선안 마련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