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도이치뱅크가 제2의 리만? 우려 과도해"


증권가 "코코본드 이자미지급 가능성 낮아…파생상품도 아냐"

[이혜경기자] 도이치뱅크의 코코본드 이자 미지급 가능성이 제기되며 지난주 유럽은행들의 주가가 급락하고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이 급등하는 등 도이치뱅크발 위기 우려가 확대됐다.

15일 증권가에서는 이에 대해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코코본드는 은행이 발행하는 자본증권의 일종으로, 유사시 투자금이 강제로 주식으로 변환되거나 상각되는 특성을 지닌다.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은행의 기본자본이 늘어나는 효과를 줌으로써 은행의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평균 발행금리가 5~7% 가량 되는 경우가 많아 저금리 상황에서 은행에 부담을 주는 상황이다.

도이치뱅크의 코코본드 이슈에 시장이 두려워하는 포인트는 이번 사태가 제2의 금융위기 전조가 아니냐는 것이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경우 서브프라임모기지 관련 파생상품 손실로 인해 글로벌 투자은행(IB)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한 데서 비롯됐는데, 도이치뱅크의 코코본드 이자 미지급이 이 같은 사태를 재연할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며 우려하는 것이다.

최근 도이치뱅크는 지난 2015년 실적에서 68억유로의 적자를 발표했다. 금융위기 이후 첫 적자다. 시장에서는 이후 도이치뱅크가 2014년에 대규모로 발행한 코코본드의 이자 지급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고, 갑자기 코코본드 리스크가 급부상했다.

시장에서는 높은 이자율을 미끼로(yield-chasing) 최근 몇 년간 유럽 은행들이 대거 발행한 코코본드 규모를 1천376억유로로 추산하고 있다. 코코본드 이자율이 매년 5~7%라고 가정하면 연간 이자 비용은 총 영업이익의 5.4~7.5%, 총 자본기준으로는 0.4~0.6%의 규모를 차지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증권사들은 그러나 도이치뱅크의 코코본드 이슈가 시스템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신한금융투자의 김수현 애널리스트는 "도이치뱅크를 과거 리만 사태와 비교하는 의견들이 있지만,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지적했다. 당시는 실물자산(부동산)의 부실이 주택저당증권(MBS)을 통해 은행(투자은행)에 전이됐지만, 코코본드는 그 반대로 은행이 어려워져야 코코본드 투자자들이 이자를 못 받는 문제가 생긴다는 설명이다.

김 애널리스트는 "코코본드는 은행이 상당한 곤경에 처할 경우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 처리되는데, 이때 은행이 안는 리스크는 코코본드 발행시 이자 비용이 급증하거나 발행이 어려워지는 정도"라며 "이거 하나만을 갖고 시스템 리스크를 운운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도이치뱅크 CDS프리미엄 급등이 파산위험 의미는 아냐

그는 또 "최근의 도이치뱅크의 CDS 프리미엄 급등이 꼭 파산 위험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기초자산 없이 투기적 목적의 수요도 있지만 기술적인 요인도 한 몫한다는 것이다. CDS프리미엄이란, 업체가 파산해 채권이나 대출 원리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채무자가 부도 위험을 따로 떼어내 거래하는 것이다.

김 애널리스트는 "코코본드 이자지급을 못받을 경우를 대비해 CDS를 보험 성격으로 매입하는 수요도 분명 있다"며 "무엇보다 지금은 2011년 유럽 재정위기보다는 CDS프리미엄이 낮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하나금융투자의 김상만 애널리스트도 "코코본드는 파생상품이 아니고, 상품구조상 파생상품과 같이 익스포저의 측정이 어렵거나 여타 채권에의 부정적 전이 가능성이 없는 채권"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코코본드의 이자 미지급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변수는 발행은행의 특정기간 수익성이 아니라, 자본건전성(자본비율로 표현되는 자본의 양 및 그 질적 구성)"이라며 "작년에 적자가 났어도 도이치뱅크는 코코본드 발행조항상 이자를 지급할 수 있고 여력도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이치뱅크발 우려, 사실보단 심리적 충격 영향

하나듬융투자의 김 애널리스트는 도이치뱅크의 코코본드 이슈가 유럽은행권 전반의 채권 및 주가 하락을 유발시키는 배경으로, 심리적인 충격이 컸다는 점을 꼽는다.

지난 2015년말 포르투갈 은행(Novo Banco), 이탈리아 4개 지방은행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관련 채권자들이 투자손실을 입게 됨에 따라 PIGS(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국가 및 은행들의 부실문제가 다시 노출된 상황에서, 그간 취약한 주변부 국가들을 지탱해온 유로권의 맹주인 독일 최대은행까지 거액의 손실을 기록했다는 사실이 시장에 커다란 심리적 충격파를 줬다는 판단이다.

아울러 올해부터 강화된 기준이 적용되는 EU '단일은행정리체제'상 은행 부실화시 손실분담 원칙(선순위채권자 및 예금자 손실가능성 존재)이 천명되면서, 그간 코코본드를 통해 투자위험이 완충될 것으로 기대했던 일반투자자들의 기대가 무산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이번 이슈가 다른 차원이 아닌 코코본드 자체에서 파생된 성격의 문제라면, 조만간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코코본드의 발행구조가 다르고 관련 시장이 아직 활성화돼 있지 않다 부정적 파급효과는 제한적"으로 내다봤다.

한편, 신한금융투자의 김 애널리스트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과 은행 규제의 공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중앙은행들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과 바젤의 자본규제 강제 시행이 예기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을 검토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 하에서는 은행의 수익성이 저하되고, 바젤 규제 강제 시행은 신용공급을 제한하게 되는데, 이는 다시 경기 침체로 이어지고 이를 탈피하기 위한 저금리 정책이 지속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위험이 발생할 경우 은행의 손실 완충 관리가 어려워지고 곤경에 처하는 은행이 발생할 수 있다"고 봤다.

이혜경기자 vixe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도이치뱅크가 제2의 리만? 우려 과도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