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국산 상표만 붙인 AI는 언어도단"...가짜 '소버린AI' 비판 [클라우드+]


글로벌 AI 기업과 협업해 만든 기술에 '소버린AI' 이름을 붙이는 행위 지적
경량화 모델 3종 상업용 오픈소스로 공개…"국내 AI생태계 강화 지원해야"

[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외산 기술에 국산 상표만 붙여 소버린이라 부르는 건, 단연코 언어도단입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삼동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네이버클라우드의 소버린AI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삼동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네이버클라우드의 소버린AI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심동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네이버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부터 AI 모델, 그리고 검색·쇼핑 등 대국민 서비스까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사실상 유일한 ‘풀스택’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라고 강조했다.

'언어도단(言語道斷)'은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서 말을 잇기 어려운 상황을 일컫는 표현이다. 김 대표는 일부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AI 기업과 협업해 만든 기술에 '소버린AI'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외산 기술에 이름만 바꿔 붙인다고 소버린이 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네이버는 외부 기술 의존 없이 독자적으로 AI 전 과정을 수행하고 있는 진정한 의미의 ‘소버린 AI’ 구현 기업이라고 밝혔다.

기술이 아닌 주권…네이버가 말하는 소버린 AI란

이날 네이버클라우드는 경량화된 인공지능(AI) 모델 '하이퍼 클로바 X 시드'를 다음날부터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김 대표는 "한국의 소버린 AI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정의한 소버린 AI는 단순히 자국 언어를 이해하는 모델을 갖추는 것을 넘어, 그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적·사업적 기반을 갖추는 것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다양한 공공·민간 분야에서 AI 기술을 실생활 문제 해결에 활용 중이다. 초고령화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독거노인 안부 전화 서비스 'AI 케어콜', 한국수력원자력의 보안형 프라이빗 AI, 중앙은행과의 협업 사례가 대표적이다.

동남아시아와 중동·아프리카(MENA) 지역 등 자체 AI 역량이 부족한 국가들을 위한 소버린 AI 수출도 본격화한다.

김 대표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우리 스스로 AI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지 않으면 결국 종속될 수 밖에 없다"며 "AI는 이제 국가나 사회를 운영하는 기본 인프라다. 그 인프라가 어느 순간 남의 의지에 따라 꺼지거나 방향이 바뀌는 상황은 매우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이어 "해외로 나갈 때도 그 나라의 다양성과 거버넌스를 존중하며 기술 제공자로서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AI 생태계 확장 지원…경량모델 무료 제공

‘하이퍼클로바X 시드’ 모델은 상업적 활용까지 전면 무료로 제공된다. 다만, 네이버와 직접적인 경합 가능성이 있는 일부 서비스나 기업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기술 개방을 통해 생태계를 키우되, 자사 핵심 비즈니스와의 충돌은 최소화하려는 전략이다,

모델은 3B(30억), 1.5B(15억), 0.5B(5억) 파라미터 규모의 세 가지로 구성됐다. 일반적으로 AI 모델은 크기가 클수록 성능이 좋지만,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 때는 비용과 효율성이 중요하다.

네이버 내부에서도 약 300여 개 프로젝트 중 40%가 이러한 경량화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 검색이나 쇼핑과 같은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비스에는 경량화된 모델이 필수적이다. 가장 작은 0.5B 모델은 모바일이나 스마트홈 기기에서도 구동 가능해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의 접근성도 높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AI기술 총괄은 "한국어·한국문화와 영어 관련 시각 정보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9개 벤치마크에서 유사 규모의 미국·중국 빅테크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경량화 모델 외에도 논리적 사고 능력이 강화된 추론 모델을 상반기 내 공개한다.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영상, 오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해하는 멀티모달 AI 기술도 개발 중이다.

국내 AI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수요 창출과 사회적 인식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피력했다.

성 총괄은 "국내 AI 개발 환경의 장벽은 기술력이나 인재 부족이 아닌 GPU 같은 하드웨어 자원의 제약이다. GPU만 있다면 당장 다음 달에도 새로운 모델을 출시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력은 이미 확보돼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소버린 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다.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며 "아직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니 규제보다는 실수를 허용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다. 정부 진흥책은 '잘 만들면 사주겠다'는 방식으로 기업들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삼동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네이버클라우드의 소버린AI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왼쪽)과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AI기술총괄이 23일 서울 역삼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국산 상표만 붙인 AI는 언어도단"...가짜 '소버린AI' 비판 [클라우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