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네이버가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를 계열사로 편입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한다. 올해 초 경영에 복귀한 이해진 의장이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띄운 승부수라는 해석도 있다.
![네이버 사옥 전경 [사진=네이버]](https://image.inews24.com/v1/59253e2f5f5729.jpg)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두나무를 계열로 편입하는 등의 결합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간편결제 네이버페이 운영사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해 두나무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포괄적 주식 교환으로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로 이어지는 수직 계열화를 완성하는 구조 등이 예상되고 있다.
네이버는 "종속회사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와 스테이블코인(기존 화폐에 가치를 연동한 가상자산·암호화폐), 비상장주식 거래 외에도 주식 교환을 포함한 다양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조만간 관련 회사들이 각각 이사회를 열어 편입 방식을 최종 결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편입이 이뤄지면 네이버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비롯해 디지털 금융 산업을 본격 추진할 가능성이 커진다.
두나무 편입은 약 7년 만에 경영에 복귀한 이 의장이 새로운 성장 확보를 위해 띄운 승부수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실제로 그간 네이버는 과감한 투자 행보를 이어왔지만, 이번 두나무 편입은 또 다른 차원의 외연 확장이라는 것이다.
네이버는 앞서 2021년(1억1500만 유로, 약 1550억원)과 2023년(약 7500만 유로, 약 1000억원)에 걸쳐 스페인 개인 간 거래(C2C) 플랫폼 왈라팝 지분 약 29.5%를 확보한 데 이어 3억7700만 유로(약 6045억원)를 투입해 왈라팝 지분 약 70.5%을 추가 확보했다.
커머스(쇼핑) 부문에서 동맹을 구축한 온라인 쇼핑몰 컬리의 구주(이미 발행된 주식) 일부도 인수하며 전략적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전 세계 기술 트렌드를 주도하는 혁신 기업 발굴과 상호 시너지 모색을 위해 미국에 투자 법인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하고 첫 투자처로 비디오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를 낙점하기도 했다.
이처럼 과감한 투자 행보를 이어가는 네이버가 디지털 금융을 중심으로 하는 미래 먹거리에 관심을 갖고 두나무 편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의 핵심 사업 축인 검색과 커머스(쇼핑)가 AI까지 더해진 빅테크(대형 IT 기업)와의 경쟁에 성장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여겨진다"며 "생활 밀착형 서비스인 네이버페이와 시장 점유율이 70~80% 수준으로 추산되는 업비트 등 두나무의 인프라를 연계하면 상당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디지털 금융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