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로 이어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 대전 본원 화재를 계기로, 공공 시스템의 민간 클라우드 전환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민간과의 협력을 적극 검토하라"고 주문하면서 그간 답보 상태였던 공공 부문의 클라우드 정책 전환이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달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4일차 현장 감식을 준비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50f601ca286f45.jpg)
"이관 가능한 건 최대한 민간으로"
장기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은 지난달 30일 아이뉴스24가 개최한 '대한민국 클라우드/SaaS 포럼 2025(KCSF 2025)’에서 “정부가 모든 시스템을 직접 보유할 필요는 없다”며 “보안상 반드시 내부에 둬야 하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민간 클라우드로 최대한 이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과장은 이어 "KT클라우드 등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클라우드는 재해복구(DR) 센터 확보가 의무화돼 있어, 이번 국자원 화재 같은 상황에서도 3시간 내 복구가 가능했을 것”이라며 “민간 인프라 활용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국자원 화재로 인해 손상된 시스템 일부를 대구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재설치하기로 했다. NHN클라우드가 추가 상면 임대와 인프라 구축을 담당한다. 기존 입주 사업자인 삼성SDS와 KT클라우드도 시스템 복구에 긴밀히 협력 중이다.
PPP 클라우드 존은 정부 부지 내에 민간 인프라를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공공 클라우드 센터로, 완전한 민간 클라우드로의 이관이 어려운 중요 공공 시스템을 위한 협력 모델이다. 완전한 민간 이관 전 단계에서 분산 복구 및 실증 역할을 수행한다.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구조를 활용해 공공 전산망 복원과 동시에 클라우드 이중화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공공센터 한계…민간 분산 필요성 확대
이번 화재로 공공 데이터센터의 이중화·재해복구(DR) 미비가 드러나면서, '공공센터 증설보다 민간 클라우드 분산이 현실적'이라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자원처럼 단일 인프라에 의존하면 복구까지 수주가 걸릴 수밖에 없다”며 “CSAP 인증을 받은 민간 클라우드에 백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제도적·예산적 걸림돌은 여전하다. 공공기관이 보안을 이유로 자체 전산망을 고집하거나, 부처 간 예산 조정이 지연되는 사례가 많아 실제 전환 속도는 더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태를 계기로 클라우드 정책 개편 필요성이 정치권과 정부 내에서 동시에 제기되며 전환 가속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과기정통부 역시 PPP 존과 별개로,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활용을 제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클라우드법 제정 10주년을 맞아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 원칙을 강화한 ‘제4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며, 이를 공공기관 경영평가와 예산 편성 지침에도 반영했다.
장 과장은 “과기정통부 서버도 화재로 피해를 입어 현재 일부 업무망을 쓰지 못하고 있다”며 “만약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돼 있었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민관이 함께 대응해야 한다”며 “AI·데이터센터·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를 포함한 클라우드 생태계를 하나로 묶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