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자원) 화재로 정부 행정망이 올스톱된 문제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AI인프라 거버넌스·혁신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종합 대책은 11월까지 마련·발표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국가인공지능(AI) 전략위원회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1c41a5b699f38d.jpg)
위원회는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겸 CAIO협의회장과 정재웅 아토리서치 대표(기존 기술혁신·인프라 분과 분과위원)를 공동 리더로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논의를 시작한다. 이 논의는 위원회 내에 가동 중인 기존 8개 분과와 3개 TF(교육, 보안, 지역)와 유기적으로 협력하게 된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거버넌스 포함 구조적 문제 해결 방안을 신속히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이중 운영체계가 필요하다. 필요시 민간과 협업해서라도 시스템을 새로 짜야 한다"며 "국가AI전략위가 총괄을 맡아 팀을 짜고 빠르게 대책을 보고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위원회는 해당 TF를 중심으로 향후 정보통신 기반 시설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장·단기 대책 마련 등을 포함한 AI 시대 국가 디지털 인프라의 근본적 구조 개선 방안(이하 ‘종합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전자정부는 그동안 행정안전부, 과기정통부, 국정원 등으로 나뉘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온 상황으로 행정안전부는 국정자원 중심 정부 주도 센터 운영(ppp 클라우드 포함)을 과기정통부는 클라우드 보안 인증(CSAP)을 통한 민간 클라우드 공공 도입을 국정원은 국가 망 보안체계(N2SF) 등 보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제각기 규제함으로써 칸막이 시스템을 만들어 왔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많았다.
이에 따라 민간 클라우드나 다양한 혁신적 서비스를 활용하지 못해 관련 산업이 발전하지 못할 뿐 아니라 기존 시스템을 땜질식으로 유지·보수하게 되어 잦은 사고·위험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임문영 국가AI략위원회 상근 부위원장은 “이번 사건을 전자정부 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운 AI정부 시대로 전환하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