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2027년 양산"⋯삼성SDI, '게임 체인저' 전고체 배터리 승부수


글로벌 완성차 5개사에 샘플 공급·성능 평가 진행⋯4500억원 투입해 라인 구축

[아이뉴스24 김종성 기자] 삼성SDI가 배터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승부수를 걸었다. 2027년 양산을 목표로, 배터리 시장의 판도를 바꾼다는 포부다.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라인이 있는 경기도 수원시 SDI연구소 전경. [사진=삼성SDI]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라인이 있는 경기도 수원시 SDI연구소 전경. [사진=삼성SDI]

2일 삼성SDI에 따르면, 회사는 현재 SDI 연구소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S라인)에서 샘플을 생산해 다수 완성차 업체(OEM)와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 말부터 고객 요청에 따라 글로벌 OEM 5개 사에 전고체 배터리 샘플을 공급하고 성능 평가를 진행 중이다.

삼성SDI는 지난 2023년 말 전고체 배터리(ASB) 사업화 추진팀을 신설했고, 전고체 배터리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양산 시점은 오는 2027년으로 못 박았다. 계획대로라면, 삼성SDI는 세계에서 가장 빨리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하는 업체가 될 전망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외부 충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배터리다. 화재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대폭 높일 수 있어 '꿈의 배터리'라고도 불린다. 실제 양산에 성공하면 전기차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주행거리와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CATL, BYD 등 중국 업체가 주도권을 쥔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에 고유의 무음극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무음극은 '음극 활물질'이 없다는 의미로, 충전 중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을 이용해 전지를 구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음극재를 없애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수명도 늘릴 수 있다.

삼성SDI는 이번에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하며 약 4500억원을 전고체 배터리 라인 구축에 투입하기로 했다. 크기와 용량을 확대한 전고체 배터리 샘플 생산과 공급, 성능 평가를 통해 양산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스펙 등을 놓고 고객사들과 논의를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전고체 전지의 앞선 양산 성공은 기술 주도권 확보와 산업 표준 선점 측면에서 긍정적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김종성 기자(stare@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2027년 양산"⋯삼성SDI, '게임 체인저' 전고체 배터리 승부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